본문 바로가기

일상

신정? 구정? 설날?

아직도 구정이라는 표현을 많이들 쓰셔요..^^


의미만 통하면 되지만, 그래도 알고 쓰시라고 포스팅합니다.


아래는 네이버 지식백과를 발췌한 내용입니다.


구정

[ 舊正 ]

정의

양력설을 신정(新正)이라 부르는 것에 대비되어 생긴 설날의 이칭.

내용

음력설을 구정이라고 부르는 방식은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것으로 보이는데, 새로운 설이 아닌 오래된 설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인들의 전통적인 시간관념 아래, 새해는 음력에 근거하여 시작되었다. 음력에 기반한 전통적 시간체계는 1896년을 기하여 공식적으로는 양력을 따르게 되었다. 양력설이 한국인들의 일상 생활에 좀 더 체계적으로 도입된 것은 일제에 의해서였다.
일제는 자신들의 시간 체계에 맞는 양력설을 새롭고 진취적이라는 의미에서 신정으로 부르고, 피식민지인인 한국인들이 쇠는 음력설은 오래되어 폐지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구정으로 불렀다. 일제가 전통 설을 지칭한 구정이라는 명칭은 일제의 양력설 정책을 답습한 해방 후 한국 정부에 의해서도 사용되었고, 그 사용이 장려되기도 했다. 음력설은 해방된 뒤에도 공무원이나 일부 국민들을 제외한 대다수의 국민들이 새해를 맞고 차례를 모시는 날이었음에도 정부는 1985년에서야 ‘민속의 날’이라는 명칭으로 음력설을 하루만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1989년에는 관공서의 ‘공휴일에관한규정’을 개정하여 음력설을 설날로 개칭하고 전후 하루씩을 포함하여 총 3일을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이로써 전통 설은 구정이라는 낙후된 이미지를 벗을 수 있었고 구정이라는 단어는 이제 일상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 金宅圭. 韓國農耕歲時의 硏究, 1985
  •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신문·잡지 편 1876~1945, 2003
  • 李杜鉉 外. 韓國民俗學槪說. 民衆書館, 1974
  • 日正공휴일 公約채택 民政의원들 正式요청. 朝鮮日報, 1984.12.20
  • 日正, 祖上의 날로 党政 公休日 합의. 朝鮮日報, 1984.12.23
  • 日正 公休日 의결 명칠 民俗의 날로. 朝鮮日報, 1985.01.19
  • 日正은 [설날]로…連休 확정 올해는 日曜日겹쳐. 朝鮮日報, 1989.01.17

    [네이버 지식백과] 구정 [舊正]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사전, 국립민속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