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포트번호는 다른 장치 / 소프트웨어에서 대부분 사용하는 포트입니다.
포트번호 | 용도 | 포트번호 | 용도 |
1 | tcpmux | 115 | sftp |
7 | echo | 117 | uucp-path |
9 | discard | 119 | NNTP |
11 | systat | 123 | NTP |
13 | daytime | 135 | loc-srv / epmap |
15 | netstat | 135 | netbios |
17 | qotd | 139 | IMAP2 |
19 | chargen | 179 | BGP |
20 | ftp data | 389 | LDAP |
21 | ftp control | 465 | SMTP+SSL |
22 | ssh | 512 | print / exec |
23 | telnet | 513 | login |
25 | smtp | 514 | shell |
37 | time | 515 | printer |
42 | name | 526 | tempo |
43 | nicname | 530 | courier |
53 | domain | 531 | chat |
77 | priv-rjs | 532 | netnews |
79 | finger | 540 | uucp |
87 | ttylink | 556 | remotefs |
95 | supdup | 563 | NNTP+SSL |
101 | hostriame | 587 | submission |
102 | iso-tsap | 601 | syslog |
103 | gppitnp | 636 | LDAP+SSL |
104 | acr-nema | 993 | IMAP+SSL |
109 | POP2 | 995 | POP3+SSL |
110 | POP3 | 2049 | nfs |
111 | sunrpc | 4045 | lockd |
113 | auth | 6000 | X11 |
Http Port : 80
이 포트는 모든 사이트가 기본으로 사용하는 포트입니다. Http:// 라고 입력하는 모든 도메인/IP는 이 포트를 통하여 접속합니다.
하지만 종종 ISP에서 해당 포트에서 나가는 패킷을 차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xDSL 시절에는 대부분...) 그렇기 때문에 이 포트는 피해주세요.
또한, 81, 88, 888, 8888, 8080 등은 다른 소프트웨어에서 임의의 포트 지정을 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이부분을 피하는것도 방법입니다 ^^
위의 포트들이 어렵나요? 그렇다면 단순하게
6001번 이후의 포트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근 6000번 이후의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이상이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포트들입니다. 이미 사용하고 있을 수 있으니 임의로 지정하는것을 피해주세요.
[13.12.12] 내용추가합니다. 겹치는것도 있지만 겹치지 않는것도 꽤 보이네요.
출처 : http://www.smartgate.kr/
▲ 21번: FTP
▲ 22번: 보안 텔넷(SSH)
▲ 23번: 텔넷
▲ 25번: SMTP(메일 발송)
▲ 42번: 호스트 네임 서버
▲ 53번: 도메인 메인 서버
▲ 70번: 고퍼(Gopher)
▲ 79번: 핑거(Finger)
▲ 80번: 웹(HTTP)
▲ 88번: 커베로스 보안 규격
▲ 110번: POP3(메일 수신)
▲ 118, 156번: SQL 서비스
▲ 137~139번: NetBIOS(파일 서버)
▲ 161번: SNMP(네트워크 관리)
▲ 220번: IMAP3(일부 메일 서비스)
▲ 812, 987번: 버디버디
▲ 1214번: 카자
▲ 1720번: 넷미팅
▲ 1863, 6891~6900번: MSN 메신저
▲ 3389번: 터미널 서비스(원격 데스크톱)
▲ 4000번: ICQ
▲ 4000, 6112번: 배틀넷(디아블로, 스타크래스트, 워크래프트)
▲ 4662번: e동키(기본값)
▲ 5500, 5800, 5900번: VNC
▲ 6257, 6699번: 윈MX(기본값)
▲ 6346번: 그누텔라
▲ 6699번: 냅스터
▲ 7674, 22321번: 소리바다 2
▲ 9292, 9999번: 구루구루
▲ 28290번: PDBOX
. 베틀넷 스타, 워크3 :TCP 6112
. 당나귀, 프루나 : TCP 4662, UDP 4672
. 구루구루 : TCP 9292
. 리니지: TCP 1950 ~ 2002/ 2004 ~ 2200
. 뮤 : TCP 44405
. 포트리스 : TCP 41800 ~ 41899
. 디아블로 : TCP 4000
. 다음메신저 TCP 8653
. 야후메신저 TCP 5050
. 버디버디 TCP 952
. ICQ TCP 5190
. AOL TCP 5190
. 천리안메신저 TCP 1421
. IMAN TCP 5282
. 세이메신저 TCP 6699
. MSN 메신져 : TCP 443, 1863
. 세이클럽 타키 : TCP 6699
. 네이트온 : TCP 5004
. 원격 데스크톱(터미널 서비스) : TCP 3389
. Winny : 10021, 10022, 10023, 10024, 10025 5개 포트와 위니에서 지정한 포트
(파일전송포트 : 20213 , bbs포트번호: 19203)
. 소리바다 : TCP7675, UDP7674
. RAdmin(Remote Administrator) : TCP 4889
14/1/8 내용추가
80, 8000 - 웹서버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
20, 21 - FTP를 사용하기 위한 포트
55536 ~ 55663 - FTP passive mode를 사용하기 위한 포트
49815 - 미디어 서버를 사용하기 위한 포트 (핸드폰 어플)
9090 - AjaXplorer 를 사용하기 위한 포트
9091 - 토렌트를 사용하기 위한 포트(Transmission 등)
9080 - 홈모니터링을 사용하기 위한 포트
2020 - 원격 윈도우 탐색기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포트
21/5/7 내용추가
3306 - mysql, mariaDB 5
3307 - mariaDB 10
5432 - PostgreSQL
3260, 3261 - iSCSI service
873 - rsync
123 - NTP
4662, 4665, 4672, 4711, 4712 - eMule
548 - AFP
137, 138, 139, 445 - SMB
5000, 5001 - Synology DSM
5005, 5006 - Synology webDAV
8000, 8001 - ASUSTOR Web Service
8807 - ASSTOR Portal
EMBY - 8096, 8920
KODI - 88, 36667
PLEX - 32400
Tomcat - 8080
Subsonic - 4040
ASUSTOR 나스 제품군의 사용 포트는 아래 문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ASUSTOR NAS - ASUSTOR NAS 서비스는 어떤 네트워크 포트를 사용합니까?
ASUSTOR NAS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포트 목록은 아래 표를 참조하십시오. Utilities Port ...
www.asustor.com
Synology 나스 제품군의 사용 포트는 아래 문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DiskStation Manager - Knowledge Base | Synology Inc.
www.synology.com
QNAP 나스는 제조사에서 찾기가 어렵네요 ;;
큐냅 NAS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포트
FTP - 기본으로 21 이며 구성할 수 있습니다. 수동 FTP 포트 - 기본으로 55536 ~ 56559 이며 구성할 수 있습니다 SSH - 기본으로 22 이며 구성할 수 있습니다. SMTP - 기본으로 25 이며 구성할 수 있습니다. 웹
onenas.co.kr
'취미, 관심 > IT.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앱] IP Cam Viewer(IP 캠 뷰어) Pro 5.3.0 (0) | 2014.03.04 |
---|---|
[Wish list] 커세어 330R (0) | 2013.12.12 |
[지름] 리안리 PC-Q27 (0) | 2013.12.12 |
구했어요! 울트라씬에어 화이트! (1) | 2013.03.12 |
그냥 쓰는 컴터 이야기 '-' (0) | 2013.03.05 |
아이폰 리뉴얼! 최종! (0) | 2013.03.05 |
ASUS ZENBOOK UX31E 사진없는 반년 사용기.. :) (0) | 2013.03.03 |